도시계획의 주요 의제와 미래
교육분야 | 건축계획 | 교육기관 | (사)한국건축가협회 |
교육방법 | 사이버교육 | 수강기간 | 결제 이후 해당 연도 12월 31일까지 |
교육시간 | 2시간 | 교육비용 | 20000 |
인정시간 | 2시간 | 비고 |
강의개요
교육목표 | 건축물은 도시의 일부로, 도시계획은 건축물의 배치, 용도, 디자인에 큰 영향을 미친다. 도시계획을 이해하면 건축사는 건축을 도시 전제와 조화를 이루고, 기존의 이미 지속 가능한 도시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는 또한 법규 준수와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 본 과목은 이러한 방법을 건축사들이 이해하여 보다 향상된 건축물을 설계하는 데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교육개요 | 이 강의는 도시계획의 기본 개념으로 출발하여, 시대적 흐름을 개관하며, 최근의 도시계획적 특징을 국내외적으로 비교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시계획 시행에서, 주요 이슈가 되는 인구와 기후, 안전, 기술 등에 대한 구체적 사항들을 설명한다. 이러한 사항들을 서울의 도시계획과 연결하여 향후 우리의 도시계획 방향을 논하며 그 전략을 제시한다. 도시계획의 이해를 통해 건축물이 도시와 조화를 이루고, 기능적이며 지속 가능한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게 한다. 강의는 도시계획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고, 시대적 흐름을 개관하며, 국내외 도시계획의 특징을 비교한다. 또한, 도시계획에서 주요 이슈인 인구, 기후, 안전, 기술 등을 다룬다. 이를 서울의 도시계획과 연계하여 향후 도시계획 방향을 논의하고 전략을 제시한다. 궁극적으로 건축사가 도시계획을 기반으로 효율적이고 법규를 준수하는 건축물을 설계할 수 있도록 한다. |
교육내용 | □ 교육 세부내용 1. 도시계획 개요 가. 시대적 배경 나. 도시별 특징(뉴욕, 런던, 도쿄, 서울) 다. 최근 경향 2. 서울도시기본계획 사례 가. 시기별 변천과정 및 특징 나. 주요 이슈 및 향후 과제 3. 미래 도시계획의 방향 가. 인구, 기후위기, 안전, 기술 등 미래 여건변화 나. 서울 도시공간 진단 및 개선방향 다. 실현전략 |
강사정보
![]() | 강사 | 김인희 / 서울연구원 / 선임연구위원 |
강사학력/자격 | 베를린 공과 대학 도시 및 지역계획 공학 석사 및 박사 | |
강사경력 | 서울연구원 선임연구위원/100년도시연구단장(현), 독일 베를린 도시계획사무소(UrbanPlan GmbH Berlin)(전), 국토연구원 국토계획·환경연구실(전) |